올해 초 취임한 도널드 트럼프가 전 세계를 상대로 무역 전쟁을 선포했을 때, 전문가들은 일제히 미국의 결정에 반대하며 경고의 메시지를 발표했다. 국제통화기금(IMF)에서는 트럼프가 시도하는 관세로 인해 무역이 둔화되고, 미국과 세계의 경제 활동을 위축시킬 거라고 경고했고, 다른 경제학자들도 미국의 관세는 교역국의 보복 관세를 부를 것이기 때문에 국제 교역과 해외 투자가 줄어들 것을 우려했다.
20세기 중반을 지나면서 세계가 일제히 자유 무역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이동한 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었다. 1929년부터 시작된 대공황 당시, 많은 나라들이 경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경쟁적으로 수입 관세를 올렸는데, 이게 결과적으로 국제 무역량을 급격히 감소시켰고, 경제난을 더욱 심화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미국을 비롯한 연합국들은 그때의 교훈으로 자유 무역이 세계를 전쟁 대신 협력의 길로 나아가게 할 수 있다고 믿게 되었고, 1947년에 GATT(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협정)라는 틀을 만들어 무역 자유화를 추진했다.
그리고 1995년에 그 유명한 WTO(세계무역기구)를 만들어 단순한 상품 교역을 넘어, 서비스와 지적재산권까지 포괄하는 국제 무역의 질서를 확립했다. 2001년 중국의 WTO 가입은 지금의 무역 구도를 만들어 낸 가장 중요한 사건 중 하나다.
이 글은 유료 회원에게만 공개됩니다.
테크와 사회, 문화를 보는 새로운 시각을 찾아냅니다.
다음글
이전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