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료 회원 공개 전체 공개
cover
유료 구독자만 댓글을 쓸 수 있습니다.
유준경

지금부터 적는 내용은 본문내용과는 크게 관련이 없을 것 같은 단어 번역에서의 문제일 것 같습니다.

미국의 Law clerk들이 Bar Exam을 통과했고 나중에 판사로 임용될 수 있으며 ‘경력이 상당히 오래되었으면’(이 말에 따옴표를 찍은 이유는 뒤에 나옵니다) 재판’연구원’이 아니라 재판‘연구관’으로 분류할 수 있을 겁니다. 미국에서 이 둘을 구분하는 지는 모르겠는데, 한국에서는 ‘재판연구관’과 ‘재판연구원’을 구분하고 있고 둘의 구분기준은 변호사자격증 유무로 구분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제가 알기로는 한국에서의 재판연구관의 커리어가 본문에서 생각하는 로클럭들의 커리어트랙과 매우 유사해보입니다. 왜냐하면 한국에서 활동하는 재판연구원들의 경우 다른 전공에서 박사학위를 받거나 전문성을 인정받아 법원에 진입하는 식으로 커리어를 만들어왔기 때문입니다. 한국의 헌법재판소에 재직하는 헌법재판연구관과 헌법재판연구원들의 커리어도 그래서 차이가 많이 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다만 한국에서도 헌법재판연구관과 헌법재판연구원들은 상당한 짬을 자랑합니다. 미국의 로클럭이 Bar exam을 좋은 성적으로 통과하고 높은 학점으로 학교를 졸업해서 바로 갈 수 있는 엘리트코스로서의 출발점이라면 한국의 재판연구관은 판사를 하다가 승진해서 간다던지, 재판연구원은 외부에서 박사를 받고 법조기관등에서 일하다가 직장을 옮긴다던지 하는 식이라서 미국의 로클럭의 나이대에 비해서는 연차가 그보다 높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마땅히 대응되는 번역어라고 하기엔 조금 직급/연차가 안 맞다?는 느낌도 있습니다. (앞에서 경력의 차이에 따옴표를 찍은 이유가 바로 이겁니다)

물론 이런 대응언어의 불일치에는 한국과 미국의 법조계의 직급/연차체계의 차이가 한 몫 합니다.

박상현

제가 이걸 번역하면서 궁금했던 점을 정확하게 짚어서 설명해주셨어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