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콤 글래드웰(Malcolm Gladwell)의 새 책 '티핑 포인트의 설계자들(Revenge of the Tipping Point)'은 미국의 은행강도 이야기로 시작한다. 은행강도는 헐리우드 영화의 단골 소재이기도 하지만, 실제로 미국에서는 한국에선 상상하기 어려울 만큼 흔한 범죄였다. 특히 1930년대 미국의 대공황으로 은행에 집과 땅을 뺏긴 사람들은 은행에서 돈을 훔치는 사람을 응원하며 경찰에게서 숨겨주면서 은행강도는 민간 영웅(folk hero)이 되기도 했다. 하지만 2차 대전이 끝나고 미국이 본격적인 부흥기에 들어가면서 은행강도는 점점 뜸해졌다.
유행이 지난 줄 알았던 은행강도가 다시 빈번해지기 시작한 건 1960년대 말이었다. 그때부터 빠르게 증가한 은행강도는 1980~90년대에 절정에 달한다. 글래드웰의 책은 주로 캘리포니아에서 일어난 유명한 사건들을 이야기하지만, 미국 내 타 지역에서도 상황은 크게 다르지 않았다. 리빌의 탐사 보도는 그중에서도 플로리다주 마이애미에서 일어난 사건에 초점을 맞춘다.
지금은 많이 달라졌지만 1980년대 마이애미는 범죄로 악명이 높았다. (미국의 많은 범죄 영화, 드라마가 마이애미를 배경으로 한 이유이기도 하다.) 1980년대 초에는 이 지역(마이애미-데이드 카운티)에서만 한 해에 평균 450건의 살인사건이 일어났고, 특히 은행강도가 급증했다. 한 도시에서 하루 최소한 하나, 많게는 다섯 개의 은행, 혹은 현금 수송 차량이 털린다는 건 경찰이 손을 거의 쓰지 못한다는 얘기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