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화든 문학이든 훌륭한 예술작품은 관객이나 독자에게 아주 개인적으로 다가가는 경우가 많다. 많은 사람들이 '나를 위해 만든 게 아닐까'하는 생각을 하게 만드는 작품들은 대개 시대와 장소를 넘어 큰 사랑을 받는다.
그런데 관객, 독자 개개인이 자신을 위해 만들어진 작품이라고 느낀다는 건 달리 말하면 각 개인이 그 작품을 직접, 그리고 조금씩 다르게 해석한다는 뜻이기도 하다. 그래서 많은 위대한 작품들이 단순히 기술적 완성도만 뛰어난 게 아니라 다양한 해석의 여지를 갖고 있다. 이는 추상회화나 시처럼 애초에 다양한 해석의 가능성을 의도하는 작품들에만 국한되는 게 아니다. 소설은 물론이고, 영화처럼 분명한 비주얼로 다른 해석의 가능성을 제한하는 것처럼 보이는 작품을 보면서도 관객은 자신만의 방법으로 감상하고 자신만의 해석을 한다.
'반지의 제왕' 속 안전한 남자들
이 글은 유료 회원에게만 공개됩니다.
테크와 사회, 문화를 보는 새로운 시각을 찾아냅니다.
다음글
돌리 파튼과 바바라 월터스 ②
파튼의 인생은 미국 여성이 남성중심 사회에서 자신의 자리를 찾기 위해 싸우는 모습을 고스란히 반영하고 있다. 페미니즘의 우상과는 거리가 멀지만 많은 여성이 파튼을 사랑하고 아끼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유료 구독자 전용
무료 회원 공개
전체 공개
이전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