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을 쓰는 현재 미국 연방 의회에서는 하원의장을 선출하는 투표가 이어지고 있다. 하원의장은 2년에 한 번 치러지는 선거를 통해 다수가 된 당에서 배출하고, 투표에 들어가기 전에 당내에서 물밑 합의가 이뤄지기 때문에 의장 선거를 위한 투표는 원래 요식 행위에 지나지 않는다. 지난 100년 동안 첫 투표로 의장이 결정되지 않은 적이 없었다.

하지만 올해의 의장 선거는 다르다. 하원에서 다수당이 된 공화당 내에서 일부 극우 의원들이 단결해서 후보로 나온 케빈 매카시(Kevin MaCarthy) 의원의 의장 선출을 집요하게 거부하고 있기 때문이다. 4일째가 되는 오늘 낮에 이뤄진 12번째 투표에서도 매카시는 당선에 필요한 과반수를 얻지 못하고 있다. (100년 전인 1923년에는 9번의 투표 끝에 의장이 결정되었다.) 만약 오늘도 결정되지 못하면 어떻게 될까? 비슷한 사례를 찾으려면 이제 1856년으로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 미국이 노예 제도를 둘러싸고 극심한 갈등에 빠졌던 그 당시 하원의장 후보였던 너새니얼 뱅크스 의원은 무려 두 달에 걸친 133번의 투표 끝에 하원 의장이 될 수 있었다.

똑같은 결과가 계속 나오는데 두 달 넘도록 투표를 반복하는 건 미련해 보이고, 무엇보다 정치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있다는 뜻이다. 하지만 거꾸로 생각하면 적어도 의원들이 룰을 따르고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몇 명이 제도의 허점을 이용해서 절차를 방해하고 있기는 해도 이는 제도 안에서 일어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와 달리 우리나라 군부의 쿠데타나 히틀러의 의사당 방화, 트럼프 지지자들의 의사당 난입 및 반란 시도는 제도와 절차를 무시하는 가장 위험한 행동이다.) 따라서 지금 미국 의회가 보여주는 싸움은 민주주의에서 종종 보게 되는 추한 장면인 동시에 시스템이 무너지지 않고 있다는 증거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