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의 글에서 이야기한 것처럼 미국에서 다른 나라처럼 출생률이 떨어지기 시작한 건 2007년부터다. 전문가들은 한 사회의 출생률이 2.1은 되어야 현재 수준의 인구가 유지된다고 하고, 이를 대체 출생률(replacement rate)이라고 부른다. 복스의 레이철 코언(Rachel Cohen) 기자의 설명에 따르면 현재 전 세계 인구의 2/3가 대체 출생률이 2.1 이하인 나라에 살고 있다. 이런 나라들에서도 인구는 아직도 증가 중이지만, 이런 출생률로는 현재의 인구가 유지되지 못한다.

과거에는 인구가 많은 게 문제라고 그렇게 경고했다면, 줄어드는 건 왜 문제가 될까? 이를 "빨간불"이라고 경고하는 기사들을 보면 결국 노동력 감소경제성장 둔화, 연금 부족, 이렇게 세 가지를 이야기하고, 그중에서도 연금 부족이 가장 시급한 문제로 지적된다. 젊은 세대가 나이 든 세대의 연금을 부담하는 시스템으로 설계된 사회 보장 제도는 인구가 늘거나, 최소한 현재 상황이 유지되는 것을 가정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거기에 더해 민주주의 체제에서 보수적인 노인 인구가 정치적인 힘을 발휘하게 되니 젊은 세대와 미래를 위한 정책도 만들어지기 힘들 가능성이 높다. 출생률을 높여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 중에는 이런 변화의 결과로 인류의 혁신이 줄어들고, 발전 속도가 느려질 거라 걱정하는 사람들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