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의 다른 버전이 '미 대선을 결정하는 올드 미디어, 종이쪽지'라는 제목으로 미디어오늘에도 게재되었습니다.
한국이 음악과 패션, 영화 등 문화적으로 세계적인 유행을 이끈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지만, 한국 사회가 긍정적인 면에서만 앞서가는 건 아니다. 가령 한국의 ‘이대남 현상’이 그렇다. 이를 ‘선망국’이라는 자조적인 표현으로 부를 필요는 없지만, Z세대로 일컬어지는 20대 남성들이 보수, 혹은 극우에 가까운 정치인을 지지하거나 선호하는 현상은 한국에서 가장 두드러질 뿐, 다른 나라에서도 이런 추세는 분명하게 나타난다. 이런 현상은 같은 또래의 여성 유권자 사이에서는 진보적인 성향이 분명하다는 점에서 윗 세대의 눈에 띈다.
이번 미국 대선에서 Z세대 정치 성향의 젠더 차이(gender gap)를 취재하는 뉴욕타임스 기자가 경합주인 위스컨신주에서 20대 남성들과 했던 인터뷰를 들어 보면 미국에서 이번 선거가 이 유권자 그룹을 얼마나 극명하게 가르고 있는지 알 수 있다. 미국의 이대남들은 트럼프를 “진정한 남성의 롤모델”로 생각한다는 말을 서슴지 않고 한다. 트럼프 지지자인 한 남성은 여자 친구와는 생각이 많이 달라서 정치 얘기를 피한다고 답했다. 특히 이번 미국 대선의 경우 진보적인 후보가 여성인 카멀라 해리스이고, 남성 후보가 보수 대법관 밀어넣기를 통해 여성의 임신 중지권을 없앤 것을 주요 업적으로 자랑하는 트럼프라는 점에서 젠더 차이가 그 어느 때보다 첨예하다.
이 글은 유료 회원에게만 공개됩니다.
테크와 사회, 문화를 보는 새로운 시각을 찾아냅니다.
다음글
이전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