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지막 글이니 간략한 요약으로 시작해 보자. 흔히 이스라엘의 문제는 중동을 떠나 살던 유대인들이 지금의 땅으로 돌아와 현대 국가를 건설하면서 시작되었다고 생각한다. 틀린 말은 아니다. 하지만 뉴욕타임즈 로넨 버그먼 기자의 설명에 의하면 현재 이스라엘이 처한 상황은 1967년 3차 중동전쟁, 즉 6일 전쟁 때 이스라엘이 주변국들의 영토—시나이반도와 가자 지구, 요르단 서안 지구, 골란고원—를 빼앗으면서 시작된 것이다.

물론 그 전쟁이 현대 이스라엘을 인정하지 않으려는 주변국들의 침략 위협에서 시작된 것은 사실이지만, 그 후로 반세기가 넘는 시간이 흘렀고, 이제 이스라엘의 영토를 직접적으로 침공할 수 있는 나라는 주변에 없다. 현재 이스라엘이 겪고 있는 문제의 핵심은 1967년에 손에 넣은 점령지에 있다. 문제의 해법은 이미 나왔다. 이스라엘은 10년 넘게 갖고 있던 시나이반도를 이집트에 반환하면서 관계를 회복했다. 마찬가지로 가자 지구와 요르단 서안도 독립 국가로 인정하는 평화안은 미국을 비롯한 대부분의 나라에서 지지하고, 이스라엘 내부에서도 이를 원하는 사람이 많았고, 이스라엘 정부가 실제로 추진하기도 했다.

하지만 그럴 때마다 극우 민족주의자들이 제동을 걸었다. 그들에게 1967년의 점령지는 신이 허락한 것이고, 메시아가 세상에 오는 날을 앞당기는 전제 조건이다. 이런 종교적 믿음을 가진 사람들에게 타협을 기대하기는 힘들다. 결국 "세상의 법을 따르느냐, 하나님의 법을 따르느냐"라는 선택으로 귀결되기 때문이다. 기독교의 성경에서 "세상의 법"을 이야기할 때는 로마 황제 카이사르의 법이었지만, 현대 세계에서 "세상의 법"은 많은 경우 민주주의 제도다. 근본주의 종교인들이 민주주의 제도를 공격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