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총기 난사는 이제 일상이 되었다. 올해 들어서만 벌써 18건의 난사사건이 발생했다. 그중 어느 하나만 다른 나라에 일어나도 전국이 충격에 빠지겠지만 미국인은 '적응'하고 있다. 악명 높은 콜럼바인 고등학교 총기난사 사건(1999년)이 있었지만 미국인들은 곧 적응했다. 약 10년 전 무려 20명의 6, 7살 어린아이들의 목숨을 앗아가는 최악의 총기 난사 사건이 있었고 전 미국이 충격에 빠졌지만 상황은 전혀 나아지지 않았고 오히려 악화되었다.

지난 10년 동안 900번의 학교 총기사건이 있었다. 대형 사건이 터질 때 마다 정부는 총기규제 법안을 꺼내 들었지만, 단결된 공화당의 반대에 번번이 부딪혔고, 그때마다 총기는 (규제의 가능성을 두려워한 사람들에 의해) 더 많이 팔려나갔다. 지난 5월 14일에는 18세 남성이 공격용 소총을 들고 멀리 흑인 동네로 가서 슈퍼마켓에서 쇼핑을 하던 흑인들을 향해 총을 쏘아 10명을 죽였다. 그리고 열흘 만에 다시 18세의 남성이 초등학교에 들어가 19명의 어린아이들과 2명의 교사를 죽였다. 미국은 또다시 충격에 빠졌지만, 아무도 상황이 나아질 거라 기대하지 않는다. 이제는 학습된 무기력(learned helplessness)이라고 보는 게 맞을 듯하다.

테드 크루즈(상원의원, 텍사스주)는 총기를 규제하면 안 되고, 학교로 진입하는 문을 하나로 만들고 거기를 철저하게 지켜야 한다는 기괴한 소리를 해서 "총기 대신 문을 규제한다"는 조롱을 받았다. 그런데 분명한 원인은 놔두고 대응에 실패했다는 주장은 잘 생각해보면 어디에서 많이 듣던 논리다. '남자들은 자꾸 나를 가르치려 든다'로 우리에게도 잘 알려진 레베카(리베카) 솔닛이 영국의 '가디언'지에 이를 지적하는 칼럼을 썼다. 문제의 핵심을 정확하게 진단한 글이라 번역해서 소개한다. 원문은 여기에서 무료로 읽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