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은 전 세계 민주주의 국가 중에서 선거에 많은 돈이 들어가는 나라로 악명이 높다. 대통령 선거가 있는 해에는 우리 돈으로 10조 원은 쉽게 넘긴다. 전체 비용은 물론이고, 유권자 한 명당 들어가는 비용을 비교해도 다른 나라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은 (영국, 독일의 40배) 세계 1위다. 왜일까? 이를 살펴 보면 미국의 정치가 구조적으로 변하기 힘든 이유를 이해할 수 있고, 많은 유권자가 트럼프라는 극단적인 후보를 선택한 이유도 어느 정도 짐작해 볼 수 있다.

일단 선거 운동 기간이 아주 길다는 게 문제다. 작년에 영국으로 이사해서 영국의 선거 과정을 목격한 어느 미국인의 말은 미국의 선거가 다른 나라들과 얼마나 다른 방식으로 운영되는지 요약해 준다. 그는 영국에서는 후보들의 TV 홍보가 없었고, 승리한 당은 바로 다음 날 권력을 넘겨받는 걸 보고 놀랐다. (참고로, 미국은 대통령에 당선된 후 취임까지 두 달 반이 걸린다.) 하지만 선거 기간이 그렇게 짧으니 좋더라며, 그걸 보면서 "미국의 선거가 얼마나 괴상한 건지" 깨닫게 되었다고 했다.

하지만 기간이 모든 걸 설명해주지는 못한다. 미국의 선거 기간은 근래 들어 더 길어지지 않았지만, 선거비용은 크게 증가했기 때문이다. 계산 방식에 따라 다르지만, 2016년에는 140~180억 달러, 우리 돈으로 19~25조 원을 썼고, 이번 선거에는 더 많은 돈이 들어갔다고 한다. 물론 비용이 더 들어간다고 해서 미국의 민주주의가 더 발전했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