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의 글에서 소개한 윌리엄 B. 라일리가 "기독교 근본주의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데는 몇 가지 이유가 있지만, 가장 대표적인 것이 다윈의 진화론에 대한 그의 입장, 그리고 미국으로 이민 오는 유대인들에 대한 그의 입장이다. 반진화론, 반유대주의로 요약할 수 있는 그의 정치적 입장은 1920년 당시 세계를 보는 근본주의 기독교인들의 시각을 대표했지만 100년이 지난 지금도 미국 정치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을 뿐 아니라, 그가 사용한 방법론까지 지금의 미국 정치를 닮았다.
가령, 라일리의 반유대주의를 보자. 1903년에 등장한 '시온 장로 의정서'라는 게 있다. 이 문서는 유대인이 전 세계를 정복하려는 계획을 담고 있지만—1897년 스위스의 바젤에서 열린 제1차 시온주의자 회의에서 발표된, 14인의 유대인 장로들의 의결문이라는 형식이다—사실은 반유대주의를 조장하기 위해 만들어진 위조문서다. 하지만 당시 사람들은 그 진위를 알 수 없었고, 21세기의 허위 정보가 유통되는 것과 똑같은 방법으로 세상에 퍼졌다. (더 흥미로운 건 라일리를 비롯한 당시 반유대주의자들의 주장이다. 그들은 유대인이 "미디어와 경제를 통제한다"고 믿었다. 지금도 미국의 많은 보수 개신교 신자들이 그렇게 믿는다.)
'시온 장로 의정서'를 미국에 퍼뜨린 사람은 다름 아닌 포드 자동차의 창업자 헨리 포드(Henry Ford)였다. 포드는 미국 자동차 산업의 대명사처럼 여겨지는 당시 재벌이었지만, 유대인 공격에 가장 적극적이었던 인물이기도 하다. 히틀러는 자신의 책 '나의 투쟁(Mein Kampf)'에서 포드의 반유대주의를 언급하기도 했고, 1938년에는 독일에서 외국인에게 주는 최고의 훈장을 포드에게 주기도 했다. 포드는 사비를 들여 '시온 장로 의정서' 50만 부를 찍어 미국에 뿌렸다.
이 글은 유료 회원에게만 공개됩니다.
테크와 사회, 문화를 보는 새로운 시각을 찾아냅니다.
다음글
이전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