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일, 미국 알래스카 항공 소속의 보잉 737 맥스 9 여객기가 이륙 후 동체에 구멍이 나는 사고가 발생했다. 떨어져 나간 부분은 원래 비상탈출구(door)로 설계된 곳이지만, 주문한 항공사가 원하지 않을 경우 문을 없애고 그 자리를 벽으로 바꾼다. '도어 플러그(door plug)'라고 불리는 이 부분은 원래 구멍이 있던 자리기 때문에 기압 차이를 버틸 수 있도록 여러 개의 고정 장치를 만든다. 미국 연방항공청(FAA)은 이 고정 장치에 문제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하고 원인을 조사 중이다.

도어 플러그가 설치된 자리는 창문의 간격을 눈여겨 살피지 않으면 구분하기 힘들다. (이미지 출처: Reddit)

사고가 난 기종은 2018년과 2019년에 똑같은 이유로 추락 사고를 내 총 346명이 사망한 악명 높은 737 맥스 기종(추락 사고가 난 기종은 737 맥스 8이고, 이번에 사고가 난 건 737 맥스 9)이다. 아직 정확한 원인을 발표하지 않았지만, 여론은 좋지 않다. 과거 추락 사고 이후 보잉이 가진 구조적 문제가 드러났고, 수익을 위해 안전을 등한시했다는 비판을 받았기 때문이다. 그렇게 혼이 나고도 아직도 정신을 차리지 못했느냐는 말이 나오는 건 당연해 보인다.